2025년 3월, 캐나다연금투자청(CPPIB)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연금(CPP)의 운용 자산은 7140억 캐나다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사상 최대 규모일 뿐 아니라, 최근 10년 평균 9.2%의 수익률이라는 눈에 띄는 성과까지 동반한다.
단순히 연금이 고갈되지 않았다는 차원을 넘어, 이 시스템은 스스로 자산을 키우며 국가의 미래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투자 기관이 된 연금
이러한 성과는 단지 경제 상황이 좋아서 나온 결과가 아니다. 캐나다는 1990년대 말부터 ‘연금도 투자기관처럼 운영되어야 한다’는 개혁을 단행했다. CPP는 정부가 직접 개입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운용 기관(CPPIB)에 위임되어 글로벌 시장에서 장기적 관점으로 자산을 운용한다.
CPPIB는 전 세계의 주식, 부동산, 인프라, 사모펀드 등에 투자하며, 분산된 자산 포트폴리오를 통해 꾸준한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다.
정치적 입김을 차단한 것도 중요한 원칙이다. 연금은 국민을 위한 자산이지, 특정 정권의 단기적 정책 수단이 아니기 때문이다.
세대 간 신뢰를 지켜내는 방법
흥미로운 것은 이 호황이 캐나다공무원연금, 교사연금 등 다른 DB형 연금에도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Mercer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주요 DB연금의 지급여력(솔벤시 비율)은 평균 125%를 넘었다.
이는 연금이 단기 수급자 중심이 아닌, 세대 간 공정한 부의 이전을 고려하며 설계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한국이나 일본처럼 인구 고령화에 시달리는 나라들이 연금 개혁의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것과는 대비된다.
물론 캐나다 내에서도 비판은 존재한다. 일부 정치권에서는 연금 기금을 더 많이 국내 투자로 돌려야 한다는 주장을 한다.
이에 대해 CPPIB는 “캐나다는 세계 GDP의 약 3%에 불과하다”며,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수익률과 리스크 관점에서 더 합리적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내 경제 활성화와 연금 수익률 간의 균형, 이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영역이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
캐나다 연금의 성공은 단지 돈을 잘 굴렸다는 결과에 머무르지 않는다.
그 이면에는 신뢰, 투명성, 정치로부터의 독립, 그리고 무엇보다도 장기적 시야가 있다.
결국, 연금이란 미래를 약속하는 사회적 계약이다.
캐나다는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 제도의 틀을 바꾸었고, 시간을 들여 그 약속을 ‘성과’로 전환했다.
우리는 이제 그 결과를 숫자로 확인하고 있다.
이제 다른 나라들의 차례다. ‘언젠가는 고갈될 연금’이라는 운명론에서 벗어나, 어떻게 지속 가능한 구조로 바꿀 것인가라는 질문을 시작할 때다.